부동산 팁/부동산 매매,전월세 4

주택 임대차 신고&확정일자? 간편하게 온라인으로 10분컷!(공인인증서 준비하기)

안녕하세요 선사임당입니다. 이번에 전세계약을 처음해보며 겪고 있는 것들을 하나하나 정리하고 있는데요! 부동산 사장님께서 임차인인 저희에게 주택임대차 신고를 해야 한다며 방법을 알려주시겠다고 하였으나 연락이 없었고... 저도 뭐 용어가 생소하다보니 시간이 지연...되어 계약한지 30일이 넘게 되어버렸습니다. 하지만... 현재 계도기간으로 과태료가 없어 인지한뒤 바로 신고를 마쳤습니다. (23년 6월부터 무적권 임대차계약날 30일 이내 신고해야 함) -21년 6월 1일부터 시행된 제도로 의무이다. -보증금 6천만원, 월세 30만원을 초과하는 계약의 경우 신고대상 -신규, 갱신 모두 신고해야 함. -주택임대사업자로 등록된 물건이 아니라면 무조건 신고해야 함.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 신고해야 함.(잊기전에 ..

전세 거주 중 집주인 바뀌었다... 어떻게 하지? _[선사임당]

안녕하세요 삶을 꾸준히 개척할 선사임당입니다. 요새 역전세와 깡통전세로 많은 세입자들이 불안한데요.. 오늘은 전세, 월세 거주중 집주인이 바뀌었을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명확히 정리해보았습니다. 집주인이 바뀐 것을 알게 되었을때.. "그냥 계속 살까?" "새 집주인이 내 보증금을 돌려줄만한 능력이 있을까?" "계약서 다시 쓰자는데 어떻게하지?" 내가 기존에 전세를 들어와 전입신고, 확정일자 이 2가지를 받아놓았다면 일단 대항력이 있기 때문에 큰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매매거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면 새집주인은 집의 소유권과 임대차 계약에 대한 모든 지위가 승계되어 다시 계약서를 쓸 필요 없이 그냥 쭉 살다 나가면 됩니다. 그러나... 새집주인이 능력이 없는 사람이라면? 깡통전세가 의심되는 경우..

전세계약(전세연장)시 주의할 점_ [선사임당]

안녕하세요 삶을 꾸준히 개척할 선사임당입니다. 부동산 매매를 하던 전세를 살던 적지 않은 돈이 오가기 때문에 금전적 손해를 보지 않으려면 반드시 공부를 해둬야 합니다. 전월세 계약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꼭 사전에 미리 공부를 하시고 큰 사고가 나지 않도록 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가계약시 주의할 점 1. 반드시 등기부등본을 먼저 확인해야 한다. -> 갑구에 소유주 이름, 생년월일, 주소, 권리관계 확인 을구 근저당(대출빚) 있는지 확인! 아무것도 없다면 깨끗한거에요~ 2. 계약의 주요내용을 중개사가 문자로 임대인, 임차인에게 기록을 남겨야 한다. -> 예) 00동 00번지 00호 전세 계약건 -목적물 : 00동 00번지 00호 -전세 금액 : 0억원 -잔금일 : 4월 말 (대략적인 기간이 있어야 한다...

부동산 전세 1년 괜찮을까?_[선사임당]

안녕하세요 스스로 삶을 개척할 선사임당입니다 전월세를 알아보는 와중에 1년 단지 전세 물건을 보게 되었는데 경험이 전무하여 잘 몰라 이곳에 주절주절 공부겸 정리해보려 합니다. 전세 1년 계약? -전세 최소 계약 기간 계약 자유 원칙에 따라 전월세 등 임대차 계약에서 계약기간은 당사자 간의 합의로 자유롭게 설정이 가능하다. 다만 세입자를 보호하는 주택임대차보호법 제4조에 이러한 내용이 있다. 1. 기간을 정하지 아니하거나 2년 미만으로 정한 임대차는 그 기간을 2년으로 본다. 다만, 임차인은 2년 미만으로 정한 기간이 유효함을 주장할 수 있다. 만약 전세 계약기간을 1년으로 정했다 하더라도 전세계약이 2년으로 자동 연장이 가능한 것임. 사실상 임차인이 무슨 말을 하지 않는 이상 임대인은 최소 2년의 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