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가 되는 길/경제기사 정리 65

가계빚 1900조 코앞 고금리에도 사상최대 [경제기사 생각정리]

가계대출을 극도로 올려놓은 대출정책이 특례보금자리론이라 생각한다. 급하강하는 집값을 연착륙 시키기 위한 정부의 정책. 덕분에 집값은 약반등하였고 거래도 꽤 되었었다. 그러다 고금리에 매수세가 멈추고 가계대출 덩치는 무지 커졌다. 현재 우리나라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최고 높다.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주담대로 집을 매수할때의 부담을 나타내는 지표로 PIR에 금리를 고려한 것이다. 이걸 얼마나 버틸수 있을지 예상은 불가능하지만 이렇게 어수선한 분위기에서 분명 기회는 있을 것이다.

원 달러 환율 25원 급락... 3개월 만에 1200원대 진입 [경제기사 생각정리]

세상에 원달러 환율이 1297원이 되었다. 미국의 고용지표 악화로 긴축 종료 기대가 확산하고 있음 거기에 공매도 금지로 국내 외국 자본 대거 유입도 영향 엔화 100엔당 867원 매우 저렴한 상황에서 미달러의 하락폭이 매우 커서 그 이상 떨어지긴 힘든 상태라고 음.. 엔화가 지금 참 싸다 싶네요

MZ 모셔라.. 명품보다 영패션 [경제기사 생각정리]

확실히 2030의 소비력이 막강한것 같다. 40대 이후의 세대는 명품, 하이브랜드의 옷을 입거나 투자 금리 등등으로 인한 소비 잠금이 보이는것 같다. mz은 유행에 민감하기 때문에 비싼 것 보다는 패스트패션 브랜드를 선호하는 것 같다. 소비가 계속 연결되기 때문에 돈의 흐름이 빠르다 mz을 왜 잡아야하는지 알겠다

국고채 30년물도 사들이는 정부 [경제기사 생각정리]

국채는 공공목적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국가에서 발행하는 채권으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 일반 대중에게 발행하는 일종의 채무증거 입니다. 국고채의 경우, 나라가 망하지 않는 이상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안정적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국고채 30년물은 2012년 발행한 채권으로 장기 재정자금 조달 능력을 가진것으로 인정을 받아 우리나라의 신용도가 제법 상승했다고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현재 시장금리에 비하여 저평가가 된것인지 여러 기관들에서 국채를 사들이고 있는 듯 합니다. 혹시 다양한 의견 있으시면 댓글을 통하여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에 칼 겨눈 금감원.. SM엔터 시세조종 혐의 조사 [경제기사 생각정리]

주목 문구 "수사당국은 카카오에 대한 김 센터장의 영향력이 여전하다고 보고 사실상 이번 sm엔터 사태와 관련된 법리적 책임 소재를 직중추궁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동안 카카오의 급격한 성장에 대한 부작용이 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다. 실적 부진과 주가 하락이라는 악순한이 반복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무분별한 사업 확장과 중복 사업이 혼재하면서 사업적으로 교통 정리가 되지 않는 모습을 보여왔다" "부실한 리스크 관리 체계 역시 회사 신뢰도가 추락하게 된 결정적인 원인으로 거론된다" "컨트롤타워 부재" "카카오는 차세대 기술력이다 새로운 서비스 창출에서 뚜렷한 경쟁력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쪼개기 상장, 기술 탈취, 도덕적 해이 같은 각종 문제가 불거진 상황" 정말 신화의 인물마냥 ..

미국 주담대 금리 23년만에 8% 돌파.. "고금리 충격 당분간 지속" [경제기사 생각정리]

23년만에.. 엄청나다 현재 미국 고용상황과 여러가지를 봤을때 나름의 경제성장 스펙트럼에 들어온듯하다 다른 나라들(예를 들어 우리나라)은 죽어나지 싶다 한국 금리 현재 gdp 대비 많이 높다.. 많이들 힘들어함 그럼에도 늘어나는 주담대 가계부채 유동성이 점점 잠기지 싶다 종잣돈을 열심히 모으자 나는 지금 이 경제파도 속에서 무엇을 할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