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월부생활/유튜브

[선사임당] 10억 달성기#2 지금이 지나면 나중에 진짜 안 팔립니다 (새벽보기 2부)

리치임당 2021. 11. 27. 11:48
반응형

 

10억 달성기 내용

 

 

아는 동생이 5~6000만원 정도 가지고 있고 책도 많이 읽었다며 투자하고 싶다고 한다면?

월부에 데려와서 열심히 격려하며 공부하게 할것이다.

 

정부규제 양도세, 취득세 중과 등 투자적으로 접근 힘들지 않을까?

아는 동생은 아직 집이 없어 3채까지의 집을 구매하는데 지역에 따라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공부의 기간은 1~2년 걸릴것이므로 나중에 시드가 7~8000만원으로 모인다면

공부가 완료되고 3채까지의 투자가 가능할 것이다.

 

나중에 수익률을 볼수 있는 통찰력이 생김

부동산 투자는 농사를 짓는 것과 같다.

농사를 하기 힘든 경우엔 거름을 주고 휴지기를 가지고 기다린다.

그리고 다시 씨앗을 뿌린다.

 

병충해가 온다면 (하락기 리스크)...?

매매가를 보는 것이 아닌 전세가를 보는 투자이기 때문에

우리가 정말 두려워해야 할 것은 전세가 하락이다.

3년정도 리스크를 본다.

그리고 지역마다 사이클이 다르기 때문에 분산투자 형식으로 나눠 사면

역전세가 오는 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리스크헷지가 가능하다.

 

새벽보기의 급등장 투자 원칙

1. 좋은 물건을 보고 나오면 매매가와 내가 가진 다른 지역의 앞마당을 비교해본다.

2. 첫번째 물건 협상의 시간동안 다른 부동산을 방문하여 같은 물건을 찾아본다

- 더 좋을 물건을 발견할때도 있고, 내가 처음 봤던 물건이 정말 좋은 것이라는 확신을 얻을수도 있다.

 

따라가는 투자를 하면 좋지 않은 결과가 나올것이다.

금전적 손실이 있기 때문이다.

경험이 없을땐 즉답을 피하고 생각을 해야 한다.

 

매수세가 강한 곳은 집도 안보고 거래가 이루어지는 등 하는데 놓치고 있다는 생각은 안드는지..?

투자의 경우 시장은 돌기 때문에 반드시 다시 기회는 올것이라 생각한다.

쉽지는 않지만 기회는 예상하지 못할때 오기 때문에 실력을 기르고 종잣돈을 준비해놓는 것이 중요함

 

올해 상승장을 겪으며 내가 투자자로써 편견을 가지고 있던 곳들도 오르게 되었다.

하지만 하락장을 생각하려 한다. 그곳이 나중에 가장 먼저 빠질 곳이기 때문이다.

나의 스트라이크 존을 지키는 것이 투자 원칙이다.

 

나는 싸고 투자금이 적게 드는 곳에 투자한다.

 

아파트 이외의 부동산은 보지 않는다.

그리고 저층, 주상복합 등도 사지 않는다.(수도권 평균입지 이상은 구매)

 

 

 

선사임당 벤치마킹 & 느낀점

 

1. 투자는 누군가가 찍어주는 것이 아니라 본인의 통찰력으로 판단해서 진행하는 것이다. 나는 세상에 사기꾼들이 널린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찍어준다고 살 사람도 아니였다. 어느 누가 투자처를 무엇때문에 찍어줄까? 정말 좋은 것이라면 소문내지 않고 자기만 큰 이익을 보기 위해 하겠지... 말도 안되는 것이다.

주변에 주식과 코인을 하며 단체 카톡방에서 찍어주는 것들을 매수하고 하는 것을 봐왔다. 우리 신랑도 그러다가 큰 돈을 날린 적이 있다. 바보같은 것이다.

 

2. 부동산 투자는 버티기 게임이다. 장기적으로는 우상향하기 때문이다. 하락장이 와서 큰 리스크가 생기면 그때 던지지 않을수 있는 금전적인 밑바탕을 준비해놔야 한다. 애초에 큰 리스크를 지지 않고 투자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3. 역전세 리스크는 반드시 준비해야 한다. 전에 전세를 준적이 있는데 집값이 반토막이 나면서 전세가가 훅 빠지는 사태가 생겼다. 그때 큰 돈을 돌려준적이 있다.

 

4. 각 지역에 앞마당을 많이 만들어놔야 한다. 지역마다 부동산 사이클이 다르기 때문에 역전세 리스크가 다르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절대 한곳에 몰아서 투자하면 안된다.

 

5. 매매를 해야겠다 결심한 매물이 생기면 그 지역 부동산을 전부 뒤져봐야 한다. 급매나 장부물건을 찾기 위해서이다. 그것이 아니라도 내가 고른 물건이 정말 좋은 것인지 알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6. 매수세가 강하여 계속해서 매매가 일어나고 가격도 급등하고 있는 곳이 있다. 나도 처음엔 엄청 흔들렸었는데 시장은 계속 돈다고 하니 기회를 잡을수 있는 실력을 쌓고 돈을 모아서 기다려야 겠다. 투자의 필패는 조급함이다.

 

7. 나만의 스트라이크 존을 만드는것. 투자를 시작하게 되면 이것도 좋아보이고 저것도 좋아보이고 다 사고 싶을 것 같다. 하지만 감정 싹 빼고 나만의 투자기준을 구체적으로 세워놔야 한다. 예를 들어 5000만원이 넘어가는 투자는 절대 좋은 물건이라도 투자를 하지 않는다던지.. 하는 것!

 

 

https://youtu.be/PgI5WtQ06C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