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월부생활/습관만들기

[선사임당] 100일 습관 만들기 47day / [벨지안가나슈] 투자금을 결정하는 수리비 계산, 이렇게 해보세요(실전투자 경험담)

리치임당 2022. 2. 14. 16:10
반응형

 

안녕하세요 삶을 꾸준히 개척할 선사임당입니다.

 

 

아무래도 매물을 보는 스킬이 부족하다보니 전화임장부터 막히더라구요

해서 오늘도 매물임장에 도움이 되는 글을 필사하였습니다^^

 

수리비는 그래도 양호한 고민거리지만

벨지안가나슈님께서 매우 좋은 글을 써주셨습니다.

 

매물의 절대가를 보고 저평가가 확실하다 느껴진다면

내가 전세살 사람이다 빙의를 하여 전세물건을 쭉 둘어봐야 합니다.

저는 아이 엄마이기 때문에 이건 매우 쉽게 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저는 구축에 거주중이기 때문에 아파트 외관을 매일 보는데요

아무래도 샷시를 교체해놓은 집들이 어마무시하게 많습니다.

이것을 투자에 접목하여 생각해보니 수리가 어느정도 되어야

세가 나가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반면 제가 갔던 모 단지의 사장님께서는 도배장판만 하면 충분히 들어와 산다고 하시며

굳이 더 완벽하게 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씀하셨고

그 단지의 굉장히 수리가 잘된 매물을 설명하실때는 없어서 못파는 정도라며

이 물건을 꼭 잡아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런 정보들을 취합해보니 기본만 갖춰놓아도 알아서 사람들이 들어오는 곳인지

아니면 세입자를 유혹할만한 예쁜 인테리어를 해놓아야 겨우 모셔올수 있는지

어느정도 판단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저는 아직 많은 매물임장 경험이 없는데요

제가 매물을 볼때는 내가 살아도 만족할수 있을만한 컨디션인지 확인하는 편입니다.

때문에 인테리어를 더 해놓고 싶은 욕심이 막 들더라구요

적당히 해도 된다고 말씀은 하시지만 손님을 모셔오는 사장님의 마인드를 가지고 생각해야 겠습니다.

 

지역의 상황과 단지상황 그리고 매물의 상황을 보고 수리비를 견적내어

대략적인 가격을 계산할수 있도록 훈련이 필요할것 같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선사임당 BM

-저평가 확정시 전세매물을 보자

-외관과 질문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자

-단지 안의 사람의 태도를 유심히 살피자

-세입자는 내 고객이다

-수리비 계산이 뚝딱 나올수 있도록 많은 매물을 보자

 

 

 


 

 

 

 

 

 

 

필사 ->

 

 

안녕하세요 초코케이크를 좋아하는 벨지안가나슈입니다.

 

오늘은 매물임장시 계산하는 수리비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시세 따며 알수 있는 시장 상황 - 지역상황

 

먼저, 시세를 따면서 시기적인 상황을 살펴볼수 있습니다.

보통은 매매가에 집중해서 가격을 따기 마련인데요.

이 지역이 저평가 되었다는 판단이 들때면 전세가격을 조금 더 유심히 봅니다.

 

잠시 시간을 내어서 신혼부부의 입장에서, 초등생을 키우는 학부모 입장에서,

전세를 구한다고 생각하고 빙의를 해서 전체적으로 전세 매물을 둘러봅니다.

그리고 전화를 통해 확인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입주 중인 아파트가 있어 전세가 쌓인 곳

전세가 많아 골라잡을 수 잇는 곳

전세가 나오면 바로바로 빠질만한 곳

 

이 정도의 지역에 대한 상황을 정리해 볼수 있습니다.

(단.. 나와 같은 투자자들이 새로 전세를 왕창 놓을수도 있다는 사실을 함께 염두해두기)

 

 

"관찰과 대화를 통해 알수 있는 단지 상황 - 단지 상황

 

다음으로, 부동산에서 매물까지 걸어가며 단지의 고유한 상황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구축 매물을 볼때는 체크해야 할 것들이 조금 더 많아지는데요

외관을 통해 샷시가 교체된 집이 많은지 확인할수 있습니다.

 

희끗희끗 많이 교체된 단지가 있고, 주변 코킹도 유독 많은 단지가 있습니다.

 

사장님 여긴 전세 몇개 있어요?

2.5억짜리는(최고가) 수리가 얼마나 되어 있어요?

2.2억 짜리는(최저가) 상태가 어떤가요?

여기 전세 놓으려면 수리는 얼마나 해야하나요?

외부 코킹은 공동구매 한건가요?

 

질문을 통해 정보를 수집해 봅니다.

 

매물을 보다보면 사람들의 모습이나 태도를 통하여

구축이지만 만족도가 높은 단지

구축이지만 싫어하지는 않는 단지

구축이지만 관리가 제법 되는 단지들을

체크할수 있습니다.

 

수리를 통해 경쟁력을 높이면 가격이 좀 높아져도 거주하려는 단지가 있고

굳이 높아진 가격을 주고 거주할만큼

매력적이지 않은 단지가 있을 것입니다.

 

 

"정보를 종합하기 - 본것, 들은것, 느낀것

 

전세의 수가 꽤 있는 지역이고 단지 내 샷시 교체된 집이 많았고,

올수리 해야 전세가 나간다는 사장님 피셜에 지역 내 수요가 괜찮은 단지.

-> 샷시까지 올수리 필요

 

전체적으로 전세가 없고 색깔은 좀 그렇지만 하이샤시에

도배장판만 해도 충분하다는 사장님 피셜에 연신대비 내부가 깔끔한 단지

-> 최대가 도배장판

 

이정도로 감을 잡고, 투자할 단지라면 전화 임장으로 모은 정보를 여기에 더하여 최종 결론을 냅니다.

 

어느정도를 수리할지는 전적으로 나에게 달려있기 때문에

손님을 모셔오는 사장님 마인드로 열심히 세심하게 체크를 해봅니다.

 

 

"매물 보며 눈으로 계산하는 수리비 - 매물 상황

 

지역상황 + 단지 상황 + 매물상황

드디어 개별 매물의 단계

 

매물별로 상황과 상태가 모두 다르기에 매물을 보며 빠르게 수리비를 계산합니다.

 

지역에 따라 시기에 따라 수리비가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대략적인 가격을 머리로 계산해 봅니다.

 

초반에 바로바로 계산이 안되면 매물을 보며 수리해야 할 항목들을 적어본 뒤

표로 정리하는 연습을 해보면 어느정도 머릿속에 들어올 거라 생각합니다.

 

제가 매물을 보며 대강 계산하는 가격을 표로 정리해보았는데요.

 

 

 

지역과 구조, 디테일한 부분에 따라 가격이 달라진다는 것 기억해주세요!!

수리비 계산기도 첨부해드립니다^^

 

(원글에 있음)

 

수리비 암산왕이 되는 그날까지 응원드리며 이번주도 힘차게 화이팅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