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손품/호재

GTX B 노선 개통, 현재 상황, 착공, 수인선, 추가역, 춘천,

리치임당 2023. 9. 24. 11:14
반응형

GTX란?

(Great Train eXpress,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수도권 주요 지점을 연결하는 광역급행 철도입니다.

 

 

 

 

 

GTX B노선은?

 

출처 국토교통부

아직 착공이 안된 GTX B노선은 총 길이 80.1km로

인천대입구(송도국제도시)에서 마석역(경기 남양주시)을 잇는 수도권 광역급행 철도입니다.

 

A노선과 C노선이 경기 남부를 수직으로 지나간다면

B노선은 경기 동북부에서 인천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모습입니다.

 

송도 - 인천시청 - 부평 - 당아래 - 신도림 - 여의도 - 용산 - 서울역 - 청량리 - 망우 - 별내 - 평내호평 - 마석

이렇게 13개역 정차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상복역~ 마석역 구간은 경춘선과 선로를 공용 이용할것으로 보입니다.

 

 

 

 

 

GTX B 만든 목적은?

 

-

용산역↔망우역 구간의 선로 용량 부족문제 복복선화

기존 지상 구간의 상황은 부동산 거품이 너무 심화되어 토지보상비용이 지하공사비용의 10배를 넘어가는 수준

현재 운행중인 선로를 뜯어 고치는 작업 또한 고난도이고

평면 교차 문제도 해결할 겸 지하 신선 건설이 합리적이라는 계산이 나왔습니다.

 

-

인천광역시, 남양주시의 서울 도심 및 여의도 접근성 향상

특히 1호선의 서울 청량리 구간은 시청역과 종각역의 급커브로 인하여 30km/h 손도 제한이 걸려있으나

GTX는 이런 부분에서 자유롭기 때문에 이동시간의 단축 효과가 클것으로 보입니다.

 

 

 

 

 

GTX B 문제점?

 

2014년 당시 예타 경제성 분석 결과

음.. GTX B노선은 3개의 노선중 유일하게 강남을 거치지 않고

송도와 서울의 이동 수요가 많이 부족하여 

사실상 낮은 경제성으로 인하여 GTX 노선중 사업진행이 가장 느린 상황입니다.

 

국책사업 명목으로 예비타당성 면제를 해주지 않았다면 아예 무산되었을 노선입니다.

 

 

 

 

 

GTX B 개통시기는?

 

향후 계획

2024년 4~5월 실시 계획 승인 및 조기 착공

2030년 7월 개통

 

사업계획이 변수 하나 없이 이상적으로 흘러갈 경우

예상 착공 시기는 2024년이 될것이고 공사기간을 약 6년으로 잡았을때

2030년 준공이 될것으로 예상됩니다.

 

 

 

 

 

GTX B 이동소요시간은?

 

송도(인천대입구) 여의도까지 17분

송도(인천대입구) ↔ 청량리까지 30분

송도(인천대입구) 서울역까지 약 28분

마석 ↔ 청량리까지 23분

 

이정도 소요 될것으로 예상되며 기존 버스나 전철보다 이동시간이

최대 1시간 이상 단축될 전망입니다.

 

경기 서부와 인천의 교통 요지를 통과하며 인천~서울 접근시간이 30분내로 개선됩니다.

현재 송도에서 서울 접근 수단은 광역버스입니다.

 

 

 

 

 

GTX B 이용 요금은?

 

요금을 예상해보겠습니다.

 

2022년 7월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기본 10km 2,850원 (수도권 기본 + GTX 추가 = 1,250원 + 1,600원)

5km 초과당 250원(수도권 기본 + GTX 추가 = 100원 + 150원) 입니다.

 

구간 길이에 따라 요금을 예상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GTX B 추가 정차역 관련?

 

현재 GTX B의 추가역 요구하는 곳은

수인선 정차역, 경기도 구리시, 강원도 춘천시 등이 있습니다.

 

만약 역사 신설이 결정되면 예산이 정해진 범위 밖을 초과시

이는 지자체에서 부담해야 합니다.

 

 

   -인천 수인선 요구

 

 

정거장을 추가해야 한다는 요구가 거세면서

인천대입구역 - 인천시청 구간 사이에 있는 GTX B노선과 수인선 노선 교차 지역에

정차역 한곳(송도역)을 추가로 추진한다는 계획을 세웠으나

 

우선사업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대우컨소시엄은 수인선의 정차가

사업성이 부족하여 추진이 어렵다는 의사를 밝혔습니다.

인천시에서도 역 신설 추가 비용이 최소 2,000억원 이상이니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거기에 수인선 자체도 경제성이 높은 노선은 아니기에 더 지켜볼 필요성이 있습니다.

 

http://www.incheon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229709 

 

GTX-B 민자사업자, “수인선 추가 정차 기술적으로 쉽지 않아” - 인천투데이

인천투데이=박규호 기자│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노선 민자사업자인 대우건설컨소시엄이 \"GTX-B의 수인분당선 환승역 추가는 다른 지자체가 추진하는 GTX-B 환승역보다 더 어렵다“ 고 밝혔다.

www.incheontoday.com

 

 

 

   -구리시 갈매역 요구

 

GTX B 노선이 지나는 지자체중 유일하게 구리에만 정차역이 없어

구리시에서는 갈매역 정차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뚜렷하게 나온 계획은 없으며

주변에서 18만명에 이르는 공공주택지구가 조성중이라 출퇴근시 혼잡이 예상됩니다.

 

구리시와 대우 컨소시움이 비용 분담 등의 협의가 진행되어 대우에서 승인이 되면

추가 역사를 국토교통부에서 검토할수 있는 상황이 됩니다.

 

 

 

 

 

   -춘천

 

마석에서 춘천 구간의 GTX B 연장 사업은

사전 타당성 조사에서 경제성이 입증된 구간입니다.

 

통상 B/C값이 0.5 이상이면 경제성이 있다고 보여지는데

해당 구간은 1.12값이 나왔습니다.

 

해당 구간에 대한 연구 용역 결과는 하반기에 나올것이고

만약 긍정적인 결과가 나온다면 해당 노선은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되어 

국비 70%를 지원받게 됩니다.

 

강원도와 춘천시는 4300억원에 이르는 연장 비용 중

총 620억에 이르는 비용을 강원도 몫으로 부담하겠다는 입장입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90613070001462?did=NA 

 

GTX는 춘천까지 달릴 수 있을까… 강원도 "국가철도망에 꼭 반영"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B)의 강원 춘천 연장 여부가 이르면 연말쯤 결론 날 전망이다. 강원도는 3일 "GTX-B 노선을 경기 가평과 춘천 연장을 결정할 연구용역 결과 발표가 당초 상반기에서 하반기

www.hankookilbo.com

 

 

 

 

 

GTX B 최대 수혜 지역은?

 

정말 개인적인 생각인데요!

결론을 먼저 말씀드리자면 서울 출퇴근이 가능한 부평의 가장 큰 호재가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양극단에 있는 지역 모두 서울 접근성이 좋아져

지금보다 훨씬 교통의 편의성이 좋아질 것은 사실입니다.

 

무튼 인천 자체만 봤을때 특히 송도의 경우

강력한 자족 시설이 있는 곳으로 서울 출퇴근 비율이 10% 남짓으로 굉장히 낮습니다.

 

그리고 수도권 중심의 교통 발전으로

부동산 가격의 양극화가 나타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투자의 기회는 언제 어디에 있을지 모르니

현재 인천의 대규모 입주로 매가가 많이 눌려있는 상황인데

먼 미래 준공이 되고 시장도 안정화가 되면 가치대비 가격이 만들어지지 싶습니다.

 

 

반응형